출장용접 [세종=뉴시스]성소의 기자 = 최근 5년간 설·추석 연휴 기간 전국에서 3000건이 넘는 화재가 발생해 40명이 넘게 사망하고 180여명이 다친 것으로 나타났다. 발생 건수는 추석 연휴에 더 많았지만, 인명피해 규모는 설 연휴가 더 컸다. 28일 모경종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소방청에서 제출받은 ‘최근 5년간 명절 연휴 화재 발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0~2024년 추석 연휴와 2020~2025년 설 연휴 기간 발생한 화재는 총 3002건으로 집계됐다. 이로 인해 42명이 사망하고 181명이 부상을 입었다. 재산 피해 규모는 2600억원에 달했다.연휴가 비교적 긴 추석에 화재 발생이 더 잦았다. 최근 5년간 추석 연휴는 평균 5일로 설 연휴(평균 4.2일)보다 하루가량 길었다. 이 기간 2026건의 화재가 발생해 총 10명이 숨지고 98명이 다쳤다. 재산 피해액은 199억4573만원으로 집계됐다.원인별로 보면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전체의 45.7%(926건)를 차지했다. 이어 전기적 요인이 28%(567건), 미상 8.6%(175건), 기계적 요인 7.9%(160건) 순이었다. 추석 연휴에는 음식 준비 과정에서 화기 사용이 늘고 성묘·벌초 등 야외 활동도 많아져 화재 위험도 높아지는 것으로 풀이된다.장소별로는 공동·단독주택 등 주거시설에서 발생한 화재가 682건(33.7%)으로 가장 많았다. 추석 연휴 화재의 3분의 1 이상은 주거시설에서 발생한 셈이다. 이 중에서도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화재가 344건(50.4%)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단독주택 화재는 318건(46.6%), 기타주택은 20건(2.9%)이었다.그 밖에 기타 시설 412건(20.3%), 생활서비스업 219건(10.8%), 자동차·철도차량 216건(10.7%), 산업시설 188건(9.3%)으로 나타났다.지역별로는 경기도가 19.1%(387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 15.4%(313건), 경남 10.3%(208건), 부산 8.1%(164건), 경북 7.4%(150건), 전남 7.5%(149건), 충남 6.8%(141건) 순으로 집계됐다.반면 설 연휴는 연평균 화재 건수가 163건으로 추석(연평균 405건)보다 적었지만 인명피해는 더 컸다.최근 6년간 설 연휴 동안 발생한 화재는 976건으로, 이로 인한 사망자는 32명, 부상자는 83명으로 집계됐다. 매년 설 연휴마다 5.3명이 사망하고 13.8명이 다친 것이다. 재산 피해는 60억5856만원으로 집계됐다. 추석 연휴와 마찬가지로 화재 원인 1위는 부주의(55.8%·545건)였다. 전기적 요인 22.6%(220건), 미상 9.2%(90건), 기계적 요인 6.7%(65건) 등이 뒤 이었다.장소별로는 단독주택이 전체의 44.1%(430건)로 가장 많았고, 아파트 화재가 21.4%(209건), 다가구주택 8.6%(84건), 다세대주택(8.9%(87건)로 나타났다. 전체 사망자의 43.8%도 단독주택 화재에서 발생했다.지역별로는 경기도 17%(166건), 서울 16.6%(162건), 경남 10.7%(104건), 경북 9.1%(89건) 순으로 화재가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모 의원은 “최근 5년간 명절 연휴에만 3000건이 넘는 화재가 발생했다”며 “정부가 노후 주택과 취약시설에 대한 안전 점검을 강화하고,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책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y@newsis.com 출장용접
[세종=뉴시스]성소의 기자 = 최근 5년간 설·추석 연휴 기간 전국에서 3000건이 넘는 화재가 발생해 40명이 넘게 사망하고 180여명이 다친 것으로 나타났다. 발생 건수는 추석 연휴에 더 많았지만, 인명피해 규모는 설 연휴가 더 컸다.
28일 모경종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소방청에서 제출받은 ‘최근 5년간 명절 연휴 화재 발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0~2024년 추석 연휴와 2020~2025년 설 연휴 기간 발생한 화재는 총 3002건으로 집계됐다.
이로 인해 42명이 사망하고 181명이 부상을 입었다. 재산 피해 규모는 2600억원에 달했다.
연휴가 비교적 긴 추석에 화재 발생이 더 잦았다.
최근 5년간 추석 연휴는 평균 5일로 설 연휴(평균 4.2일)보다 하루가량 길었다. 이 기간 2026건의 화재가 발생해 총 10명이 숨지고 98명이 다쳤다. 재산 피해액은 199억4573만원으로 집계됐다.
원인별로 보면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전체의 45.7%(926건)를 차지했다. 이어 전기적 요인이 28%(567건), 미상 8.6%(175건), 기계적 요인 7.9%(160건) 순이었다.
추석 연휴에는 음식 준비 과정에서 화기 사용이 늘고 성묘·벌초 등 야외 활동도 많아져 화재 위험도 높아지는 것으로 풀이된다.
장소별로는 공동·단독주택 등 주거시설에서 발생한 화재가 682건(33.7%)으로 가장 많았다. 추석 연휴 화재의 3분의 1 이상은 주거시설에서 발생한 셈이다.
이 중에서도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화재가 344건(50.4%)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단독주택 화재는 318건(46.6%), 기타주택은 20건(2.9%)이었다.
그 밖에 기타 시설 412건(20.3%), 생활서비스업 219건(10.8%), 자동차·철도차량 216건(10.7%), 산업시설 188건(9.3%)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19.1%(387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 15.4%(313건), 경남 10.3%(208건), 부산 8.1%(164건), 경북 7.4%(150건), 전남 7.5%(149건), 충남 6.8%(141건)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설 연휴는 연평균 화재 건수가 163건으로 추석(연평균 405건)보다 적었지만 인명피해는 더 컸다.
최근 6년간 설 연휴 동안 발생한 화재는 976건으로, 이로 인한 사망자는 32명, 부상자는 83명으로 집계됐다. 매년 설 연휴마다 5.3명이 사망하고 13.8명이 다친 것이다. 재산 피해는 60억5856만원으로 집계됐다.
추석 연휴와 마찬가지로 화재 원인 1위는 부주의(55.8%·545건)였다. 전기적 요인 22.6%(220건), 미상 9.2%(90건), 기계적 요인 6.7%(65건) 등이 뒤 이었다.
장소별로는 단독주택이 전체의 44.1%(430건)로 가장 많았고, 아파트 화재가 21.4%(209건), 다가구주택 8.6%(84건), 다세대주택(8.9%(87건)로 나타났다. 전체 사망자의 43.8%도 단독주택 화재에서 발생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 17%(166건), 서울 16.6%(162건), 경남 10.7%(104건), 경북 9.1%(89건) 순으로 화재가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 의원은 “최근 5년간 명절 연휴에만 3000건이 넘는 화재가 발생했다”며 “정부가 노후 주택과 취약시설에 대한 안전 점검을 강화하고,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책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y@newsis.com 출장용접급한 현장, 깔끔한 마감. 숙련 기술자가 바로 찾아가는 출장용접 서비스입니다. 재질·두께·환경을 먼저 진단하고 최적 공정으로 변형과 변색을 최소화합니다.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철 구조물까지 출장용접 범위를 넓혔고, 사진만 보내면 견적과 공정 계획을 신속히 안내합니다. 안전수칙과 품질검사 후 A/S까지 책임지며, 야간·주말도 예약 가능합니다. 믿을 수 있는 출장용접, 합리적인 비용의 출장용접, 결과로 증명하는 출장용접을 경험해 보세요. #출장용접 #알곤출장용접 #출장용접알곤 https://communicationphone.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