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장용접 [서울=뉴시스] 구무서 기자 = 자살사망자의 99% 이상이 사망 전 주변에 경고신호를 보냈지만 이를 인지한 비율은 2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은 1일 2024년 심리부검 면담 결과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2022~2024년 자살사망자 특성과 지난 10개년(2015~2024) 특성을 분석해 변화 양상을 제시한 것이다.
심리부검은 자살사망자 가족·지인 진술과 고인의 기록을 검토해 심리·행동 변화와 생애 스트레스를 확인하고 자살의 원인을 추정하는 조사 방법이다. 이번 분석은 유족 1420명의 면담을 바탕으로 자살사망자 1250명(최근 3개년 299명)에 대한 자료를 활용했다.
최근 3개년 심리부검 대상 자살사망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남성이 62.9%, 여성이 37.1%를 차지했다. 장년기 33.1%, 청년기 28.1%, 중년기 27.4%, 노년기 11.4%였다. 결혼 상태는 기혼이 50.2%로 가장 많았으며, 1인 가구는 20.1%로 나타났다.
고용 형태는 피고용인이 36.1%이고, 사망 당시 소득이 없었던 자살사망자는 26.8%였다. 부채 보유자는 61.7%로 최근 10개년 53.3%보다 증가했다. 이 중 주택 임차 및 구입 관련 부채가 26.5%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특히 재테크·투자 관련 부채의 비율은 23.5%로 최근 10개년 13.9%에 비해 약 10%포인트(p) 급증했다.
자살사망자는 평균 4.3개 스트레스 사건을 다중적으로 경험했는데, 특히 정신건강 관련 스트레스는 자살사망자의 79.9%가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성장과정 스트레스는 68.2%(10개년 50.6%)로 10개년에 비해 경험률이 가장 많이 높아졌다.
자살사망자의 99.3%는 사망 전 심리·행동 변화(경고신호)를 보였으며, 이 경고신호를 자살사망자의 주변에서 인지한 비율은 20.1%였다.
최근 10개년과 비교하면 경고신호를 보인 자살사망자는 96.5%에서 99.3%로 증가했지만 인지율은 23.7%에서 20.1%로 감소했다.
경고신호 중 우울한 기분을 보인다(72.4%), 자살에 대한 말을 하거나 쓴다(70.4%), 수면 상태의 변화(69.7%) 순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자살사망자의 사망 전 치료·상담 경험률은 61.3%이며, 정신건강의학과 외래치료 86.5%, 상담서비스 22.5%다. 치료·상담 중단율은 41.0%다.
10년간 심리부검 면담에 참여한 유족의 대다수(99.0%)는 사별 후 심리·정서적 어려움과 관계·신체 건강의 변화를 겪었다. 특히 심한 우울(19.6%), 임상적 불면(37.7%), 복합 비탄(37.0%), 자살사고(54.8%) 등 정신건강 문제도 확인됐다. 또 유족 73.4% 이상이 고인의 사망 사실을 주변에 알리지 못했다.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는 “이는 자살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가까운 가족·지인이 받을 충격을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은 이번 분석을 통해 자살위험군과 유족에 대한 지원체계를 강화하는 등 향후 자살예방정책 수립 과정에서 단기적 변화와 장기적 과제를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황태연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이사장은 “심리부검 면담 결과는 부채의 증가와 정신건강 악화 등 자살위험 요인을 확인할 수 있고, 유족에 대한 심리적·사회적 지원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시켜 주는 중요한 자료”라며 “사회적 변화를 반영한 심층 분석과 연구를 확대하고, 자살예방 사업에 반영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nowest@newsis.com 출장용접[서울=뉴시스] 구무서 기자 = 자살사망자의 99% 이상이 사망 전 주변에 경고신호를 보냈지만 이를 인지한 비율은 2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은 1일 2024년 심리부검 면담 결과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2022~2024년 자살사망자 특성과 지난 10개년(2015~2024) 특성을 분석해 변화 양상을 제시한 것이다.
심리부검은 자살사망자 가족·지인 진술과 고인의 기록을 검토해 심리·행동 변화와 생애 스트레스를 확인하고 자살의 원인을 추정하는 조사 방법이다. 이번 분석은 유족 1420명의 면담을 바탕으로 자살사망자 1250명(최근 3개년 299명)에 대한 자료를 활용했다.
최근 3개년 심리부검 대상 자살사망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남성이 62.9%, 여성이 37.1%를 차지했다. 장년기 33.1%, 청년기 28.1%, 중년기 27.4%, 노년기 11.4%였다. 결혼 상태는 기혼이 50.2%로 가장 많았으며, 1인 가구는 20.1%로 나타났다.
고용 형태는 피고용인이 36.1%이고, 사망 당시 소득이 없었던 자살사망자는 26.8%였다. 부채 보유자는 61.7%로 최근 10개년 53.3%보다 증가했다. 이 중 주택 임차 및 구입 관련 부채가 26.5%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특히 재테크·투자 관련 부채의 비율은 23.5%로 최근 10개년 13.9%에 비해 약 10%포인트(p) 급증했다.
자살사망자는 평균 4.3개 스트레스 사건을 다중적으로 경험했는데, 특히 정신건강 관련 스트레스는 자살사망자의 79.9%가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성장과정 스트레스는 68.2%(10개년 50.6%)로 10개년에 비해 경험률이 가장 많이 높아졌다.
자살사망자의 99.3%는 사망 전 심리·행동 변화(경고신호)를 보였으며, 이 경고신호를 자살사망자의 주변에서 인지한 비율은 20.1%였다.
최근 10개년과 비교하면 경고신호를 보인 자살사망자는 96.5%에서 99.3%로 증가했지만 인지율은 23.7%에서 20.1%로 감소했다.
경고신호 중 우울한 기분을 보인다(72.4%), 자살에 대한 말을 하거나 쓴다(70.4%), 수면 상태의 변화(69.7%) 순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자살사망자의 사망 전 치료·상담 경험률은 61.3%이며, 정신건강의학과 외래치료 86.5%, 상담서비스 22.5%다. 치료·상담 중단율은 41.0%다.
10년간 심리부검 면담에 참여한 유족의 대다수(99.0%)는 사별 후 심리·정서적 어려움과 관계·신체 건강의 변화를 겪었다. 특히 심한 우울(19.6%), 임상적 불면(37.7%), 복합 비탄(37.0%), 자살사고(54.8%) 등 정신건강 문제도 확인됐다. 또 유족 73.4% 이상이 고인의 사망 사실을 주변에 알리지 못했다.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는 “이는 자살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가까운 가족·지인이 받을 충격을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은 이번 분석을 통해 자살위험군과 유족에 대한 지원체계를 강화하는 등 향후 자살예방정책 수립 과정에서 단기적 변화와 장기적 과제를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황태연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이사장은 “심리부검 면담 결과는 부채의 증가와 정신건강 악화 등 자살위험 요인을 확인할 수 있고, 유족에 대한 심리적·사회적 지원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시켜 주는 중요한 자료”라며 “사회적 변화를 반영한 심층 분석과 연구를 확대하고, 자살예방 사업에 반영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nowest@newsis.com 출장용접급한 현장, 깔끔한 마감. 숙련 기술자가 바로 찾아가는 출장용접 서비스입니다. 재질·두께·환경을 먼저 진단하고 최적 공정으로 변형과 변색을 최소화합니다.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철 구조물까지 출장용접 범위를 넓혔고, 사진만 보내면 견적과 공정 계획을 신속히 안내합니다. 안전수칙과 품질검사 후 A/S까지 책임지며, 야간·주말도 예약 가능합니다. 믿을 수 있는 출장용접, 합리적인 비용의 출장용접, 결과로 증명하는 출장용접을 경험해 보세요. #출장용접 #알곤출장용접 #출장용접알곤 https://communicationphone.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