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장용접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 기자 = ┼
“국립현대미술관 회고전이 연대기적 맥락을 중심으로 했다면, 이번 대구미술관 전시는 ‘실험 정신’ 그 자체를 부각한다.”(대구미술관 강효연 학예실장)
┼대구미술관(관장 노중기)은 대구 출신 거장 이강소(82)의 대규모 회고전 ‘曲水之遊 곡수지유: 실험은 계속된다’를 열고 있다. 회화·조각·판화·드로잉·사진·아카이브 등 130여 점을 망라했다. 그의 고향에서 열리는 전시이자 2011년 개관 특별전 이후 14년 만의 개인전이다.노중기 관장은 “이강소 화백은 개인적으로 중학교 시절 미술 선생님이기도 했다”며 “대구가 낳은 세계적인 거장”이라고 말했다.이강소 화백은 81세이던 지난해 세계적인 갤러리 오스트리아 타데우스 로팍과 전속 계약을 맺으며 화제가 됐다. 작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회고전에 이어 지난 6월 타데우스 로팍 서울에서 첫 개인전을 열고 왕성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설치, 퍼포먼스, 사진, 비디오, 판화, 회화, 조각 등 매체에 구애받지 않고 창작해 온 한국 현대미술의 대표적 거장이다. 특정 사조나 형식적 방법론에 안주하지 않으며, 1970년대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실험과 확장을 멈추지 않았다. 1943년 대구에서 태어나 1965년 서울대 미대 회화과를 졸업했다.◆ 대구현대미술제, 실험의 원류이강소는 1969년 신체제를 결성하고, 1970년대 AG(한국아방가르드협회), 에꼴드서울 활동에 적극 참여했다. 특히 1974년 창립한 대구현대미술제는 한국 최초의 전국적·국제적 현대미술제로, 이후 전국으로 확산되는 출발점이 됐다. 앵포르멜과 구상이 지배적이던 시기에 ‘실험미술’을 전면에 내세운 그의 도전은 한국 현대미술사의 분수령이 됐다.전시 제목 ‘곡수지유(曲水之遊)’는 흐르는 물 위 술잔을 띄우고 시를 읊던 동양의 풍류에서 비롯됐다. 이는 자연의 질서 속에서 흐르듯 사유하고 예술을 나누는 태도와 맞닿아 있다. 강효연 학예실장은 “낙동강변은 그의 실험이 시작된 현장이자 예술적 원형을 품은 장소였다. 이번 전시는 곡수의 흐름처럼 이어진 반세기 실험의 여정을 재현한다”고 설명했다.전시는 최근작으로 시작한다. ‘청명'(2016~) 연작은 맑은 정신세계를, ‘바람이 분다'(2022~)는 색채의 유입을 보여준다. 무채색을 고수하던 그는 “색이 나를 유혹했다”는 고백처럼 새로운 전환점을 열었다.1970년대 대표작들은 한국 실험미술의 역사를 증언한다. 파리비엔날레 출품작 ‘무제 1975-31’, 일명 ‘닭 퍼포먼스’는 예측 불가능한 순간을 예술로 끌어안으며 국제적 주목을 받았다. 비디오 작업 ‘Painting 78-1′(1977)은 투명 유리에 붓질하는 과정을 담아 회화를 ‘결과’가 아닌 ‘과정’으로 확장했다.◆ 무경계의 예술1980년대 이후 회화는 서사를 덜어내면서도 산세·물결·비구름 같은 잔상을 남겼다. 멀리서는 산맥 같다가도 가까이선 먹구름으로 변모한다. ‘살아 있는 회화’라 불릴 만큼 무한히 변주되는 화면이 이강소 회화의 묘미다.조각 작업은 흙·불·빛 등 자연 요소와 작가의 몸이 어우러져 탄생한다. 그는 이를 “의식과 무의식의 합작”이라 명명했다.1전시장의 마지막은 판화와 함께 신체제, AG, 에꼴드서울, 그리고 대구현대미술제 기록을 담은 아카이브 공간이다. 어미홀에서는 첫 개인전 출품작 ‘소멸'(1973)**을 중심으로 갈대와 브론즈 조각이 설치돼, 낙동강 풍경과 미술관이 겹쳐지는 체험을 제공한다.┼
“저의 작품은 제 손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변화하는 순간마다 관객과 만나며 새롭게 완성된다고 믿습니다.”(이강소 화백)
┼강효연 학예실장은 “이강소는 실험이 계속된다는 점이 특징적”이라며 “매체와 장르를 두려움 없이 넘나드는 과감함이 돋보인다”고 평가했다.그는 이어 “이강소는 예술가로서 타고난 존재다. 모든 것을 ‘툭툭툭’ 던지는 마인드로 작업하는데, 어떻게 그 시기에 이런 과감함이 가능했을까 싶다”며 “특히 그가 이끈 대구현대미술제가 없었다면 한국 현대미술의 발전은 훨씬 늦어졌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구 출신 작가로서 자부심을 보인 그의 행보는, 지역에서 시작된 실험이 곧 한국 현대미술을 세계로 확장시키는 토대가 됐다”고 덧붙였다.전시는 2026년 2월 22일까지 이어진다.
◎공감언론 뉴시스 hyun@newsis.com 출장용접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 기자 = ┼
“국립현대미술관 회고전이 연대기적 맥락을 중심으로 했다면, 이번 대구미술관 전시는 ‘실험 정신’ 그 자체를 부각한다.”(대구미술관 강효연 학예실장)
┼
대구미술관(관장 노중기)은 대구 출신 거장 이강소(82)의 대규모 회고전 ‘曲水之遊 곡수지유: 실험은 계속된다’를 열고 있다.
회화·조각·판화·드로잉·사진·아카이브 등 130여 점을 망라했다. 그의 고향에서 열리는 전시이자 2011년 개관 특별전 이후 14년 만의 개인전이다.
노중기 관장은 “이강소 화백은 개인적으로 중학교 시절 미술 선생님이기도 했다”며 “대구가 낳은 세계적인 거장”이라고 말했다.
이강소 화백은 81세이던 지난해 세계적인 갤러리 오스트리아 타데우스 로팍과 전속 계약을 맺으며 화제가 됐다. 작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회고전에 이어 지난 6월 타데우스 로팍 서울에서 첫 개인전을 열고 왕성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설치, 퍼포먼스, 사진, 비디오, 판화, 회화, 조각 등 매체에 구애받지 않고 창작해 온 한국 현대미술의 대표적 거장이다. 특정 사조나 형식적 방법론에 안주하지 않으며, 1970년대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실험과 확장을 멈추지 않았다. 1943년 대구에서 태어나 1965년 서울대 미대 회화과를 졸업했다.
◆ 대구현대미술제, 실험의 원류
이강소는 1969년 신체제를 결성하고, 1970년대 AG(한국아방가르드협회), 에꼴드서울 활동에 적극 참여했다. 특히 1974년 창립한 대구현대미술제는 한국 최초의 전국적·국제적 현대미술제로, 이후 전국으로 확산되는 출발점이 됐다. 앵포르멜과 구상이 지배적이던 시기에 ‘실험미술’을 전면에 내세운 그의 도전은 한국 현대미술사의 분수령이 됐다.
전시 제목 ‘곡수지유(曲水之遊)’는 흐르는 물 위 술잔을 띄우고 시를 읊던 동양의 풍류에서 비롯됐다. 이는 자연의 질서 속에서 흐르듯 사유하고 예술을 나누는 태도와 맞닿아 있다.
강효연 학예실장은 “낙동강변은 그의 실험이 시작된 현장이자 예술적 원형을 품은 장소였다. 이번 전시는 곡수의 흐름처럼 이어진 반세기 실험의 여정을 재현한다”고 설명했다.
전시는 최근작으로 시작한다. ‘청명'(2016~) 연작은 맑은 정신세계를, ‘바람이 분다'(2022~)는 색채의 유입을 보여준다. 무채색을 고수하던 그는 “색이 나를 유혹했다”는 고백처럼 새로운 전환점을 열었다.
1970년대 대표작들은 한국 실험미술의 역사를 증언한다. 파리비엔날레 출품작 ‘무제 1975-31’, 일명 ‘닭 퍼포먼스’는 예측 불가능한 순간을 예술로 끌어안으며 국제적 주목을 받았다. 비디오 작업 ‘Painting 78-1′(1977)은 투명 유리에 붓질하는 과정을 담아 회화를 ‘결과’가 아닌 ‘과정’으로 확장했다.
◆ 무경계의 예술
1980년대 이후 회화는 서사를 덜어내면서도 산세·물결·비구름 같은 잔상을 남겼다. 멀리서는 산맥 같다가도 가까이선 먹구름으로 변모한다. ‘살아 있는 회화’라 불릴 만큼 무한히 변주되는 화면이 이강소 회화의 묘미다.
조각 작업은 흙·불·빛 등 자연 요소와 작가의 몸이 어우러져 탄생한다. 그는 이를 “의식과 무의식의 합작”이라 명명했다.
1전시장의 마지막은 판화와 함께 신체제, AG, 에꼴드서울, 그리고 대구현대미술제 기록을 담은 아카이브 공간이다. 어미홀에서는 첫 개인전 출품작 ‘소멸'(1973)**을 중심으로 갈대와 브론즈 조각이 설치돼, 낙동강 풍경과 미술관이 겹쳐지는 체험을 제공한다.
┼
“저의 작품은 제 손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변화하는 순간마다 관객과 만나며 새롭게 완성된다고 믿습니다.”(이강소 화백)
┼강효연 학예실장은 “이강소는 실험이 계속된다는 점이 특징적”이라며 “매체와 장르를 두려움 없이 넘나드는 과감함이 돋보인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이강소는 예술가로서 타고난 존재다. 모든 것을 ‘툭툭툭’ 던지는 마인드로 작업하는데, 어떻게 그 시기에 이런 과감함이 가능했을까 싶다”며 “특히 그가 이끈 대구현대미술제가 없었다면 한국 현대미술의 발전은 훨씬 늦어졌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구 출신 작가로서 자부심을 보인 그의 행보는, 지역에서 시작된 실험이 곧 한국 현대미술을 세계로 확장시키는 토대가 됐다”고 덧붙였다.
전시는 2026년 2월 22일까지 이어진다.
◎공감언론 뉴시스 hyun@newsis.com 급한 현장, 깔끔한 마감. 숙련 기술자가 바로 찾아가는 출장용접 서비스입니다. 재질·두께·환경을 먼저 진단하고 최적 공정으로 변형과 변색을 최소화합니다.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철 구조물까지 출장용접 범위를 넓혔고, 사진만 보내면 견적과 공정 계획을 신속히 안내합니다. 안전수칙과 품질검사 후 A/S까지 책임지며, 야간·주말도 예약 가능합니다. 믿을 수 있는 출장용접, 합리적인 비용의 출장용접, 결과로 증명하는 출장용접을 경험해 보세요. #출장용접 #알곤출장용접 #출장용접알곤 https://communicationphone.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