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장용접 [서울=뉴시스]고범준 최동준 조재완 기자 = 제80차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이 3박5일간의 일정을 모두 마치고 26일 귀국했다.이번 순방은 민주주의 회복 경험을 국제사회와 공유하고, 한반도 평화 구상과 인공지능(AI) 등 미래 의제에서 한국의 리더십을 드러낸 자리였다. 동시에 실질적인 경제 협력과 외교적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실용외교 행보이기도 했다.’민주한국 복귀 선언·END 이니셔티브 제시’이 대통령은 유엔총회 기조연설과 안보리 의장국 공개토의를 주재했다. 이번 유엔총회는 G7(주요7개국)과는 차별화된 글로벌 다자외교 종합무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기조연설에선 민주주의 회복 경험을 국제사회와 공유하고, 원조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성장한 한국의 위상을 강조했다. 지난 비상계염 사태를 딛고 ‘민주 한국’이 복귀했음을 선언했다.이 대통령은 또 기후위기와 빈곤, 불평등과 같은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다자 협력을 촉구하고, 한국이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특히 한반도 평화를 위한 ‘E·N·D(엔드) 이니셔티브’라는 새로운 구상을 제시하며, 남북 교류와 관계 정상화를 거쳐 단계적 비핵화로 나아가겠다는 방침을 국제무대에 공식화했다. 이 대통령은 “엔드 이니셔티브를 중심으로 한 포괄적인 대화로 한반도에서의 적대와 대결의 시대를 종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 자리에서 북한 체제를 존중하고, 적대 행위를 중단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이 대통령의 연설 직후 이 대통령을 만나 이러한 대북 구상에 공감을 표하고, 대북 정책을 적극 지원하고 지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한다.이 대통령은 안보리 공개토의에선 ‘AI와 국제 평화·안보’를 주제로 회의를 주재해 한국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안보리 의사봉을 잡았다. AI에 대해 국제사회가 함께 ‘책임있는 이용’ 원칙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이규연 홍보소통수석은 기자들과 만나 “유엔총회 연설과 안보리 회의 주재를 통해 한국의 민주주의가 복원됐고, 정상적인 국가로서 외교를 시작했다는 신호탄을 쏜 것”이라고 했다.대통령실 관계자는 뉴시스에 “글로벌 의제 설정 능력을 보여줬고, 양자외교와 경제외교를 통해 국익을 직접 챙겼다”고 했다. 美베센트 접견에 양자 정상외교·韓투자 설명회까지…숨가쁜 3박5일이 대통령은 순방기간 양자 정상외교도 병행해 경제·산업 협력을 적극 모색했다. 이 대통령은 이탈리아·폴란드·체코·우즈베키스탄 정상과의 연쇄 회담을 통해 각 산업 분야별 맞춤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특히 AI와 국방, 방위산업 등 첨단산업 분야에 관한 논의가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이탈리아와 AI와 방산 등 분야에서 호혜적 협력을 심화 발전시키기로 했고, 폴란드와 잠수함 등 국방·방위사업 협력을 강화하자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광물자원을 지닌 우즈베키스탄과 경제 협력을 확대하자는 데 뜻을 모았고, 체코와 원전을 넘어 반도체, 전기차 등으로 관계를 상호 호혜적으로 발전시키기로 했다.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기자들과 만나 “다자외교 무대에서도 민생과 경제를 챙기는 행보를 이어갔다”고 했다. 이규연 홍보수석은 “네 번의 양자회담을 통해 양국 간 굉장히 큰 진전, 교역적인 측면이나 통상적 측면, 산업적 측면, 안보적 측면에서 진전이 계속됐다”고 했다.이 대통령은 한미 관세협상과 통화스와프 문제 해결을 위해 순방 기간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을 접견했다. 이 대통령은 베센트 장관에게 한국 외환시장의 특수성 등을 설명하며 협상의 필요성을 직접 설득했다. 김용범 정책실장은 “통화스와프는 필요조건”이라며 “우리나라 외환시장에 미칠 충격이 크기 때문에 그게 해결이 안 되면 그 다음으로 나아갈 수가 없다”고 했다. 베센트 장관은 이 대통령의 설득을 경청하고, 미 내부 유관 부처와 상의하겠다고 답했다고 한다.이 대통령은 또 미 의회와 조야 인사들을 만나 미국 비자 제도 개선과 관세 협상,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 등을 논의했다. 위 실장은 이를 두고 “한미 관계 발전에 대한 미국 의회와 조야의 폭넓은 지지를 확보하고 특히 비자 제도 개선과 관련한 초당적 지지를 이끌어내고자 했다”며 “국익 중심 실용 외교를 통한 한미 관계 강화의 계기가 됐다”고 했다.순방 마지막날엔 월가 뉴욕증권거래소를 찾아 ‘대한민국 투자 서밋’을 열었다. 해외 금융인들에게 한국의 안정적인 투자 환경과 시장 신뢰를 직접 설득하는 투자 설명회다.이 대통령은 주요 금융인들과 소통하고 네트워킹을 쌓는 한편, 세계적인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한국 투자를 당부하고 양국 경제·금융 협력을 위해 노력해달라고 요청했다. 한국 대통령이 뉴욕증권거래소를 방문한 것은 2017년 문재인 전 대통령 후 8년 만이며, 이곳에서 투자 설명회를 개최하는 것은 이 대통령이 처음이다.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이 한국을 ‘AI허브’로 구축한다는 업무협약(MOU)이 이번 순방 기간 공개되기도 했다. 이규연 수석은 “블랙록 회장을 만나 여러가지 실질적인 투자와 관련된 이야기가 오갔다는 것, 그것이 AI와 신재생에너지 부분에 관련된 것이고, 정부가 지금 가장 집중하는 분야”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bjko@newsis.com, photocdj@newsis.com, wander@newsis.com 출장용접
[서울=뉴시스]고범준 최동준 조재완 기자 = 제80차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이 3박5일간의 일정을 모두 마치고 26일 귀국했다.
이번 순방은 민주주의 회복 경험을 국제사회와 공유하고, 한반도 평화 구상과 인공지능(AI) 등 미래 의제에서 한국의 리더십을 드러낸 자리였다. 동시에 실질적인 경제 협력과 외교적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실용외교 행보이기도 했다.
‘민주한국 복귀 선언·END 이니셔티브 제시’
이 대통령은 유엔총회 기조연설과 안보리 의장국 공개토의를 주재했다. 이번 유엔총회는 G7(주요7개국)과는 차별화된 글로벌 다자외교 종합무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기조연설에선 민주주의 회복 경험을 국제사회와 공유하고, 원조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성장한 한국의 위상을 강조했다. 지난 비상계염 사태를 딛고 ‘민주 한국’이 복귀했음을 선언했다.
이 대통령은 또 기후위기와 빈곤, 불평등과 같은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다자 협력을 촉구하고, 한국이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특히 한반도 평화를 위한 ‘E·N·D(엔드) 이니셔티브’라는 새로운 구상을 제시하며, 남북 교류와 관계 정상화를 거쳐 단계적 비핵화로 나아가겠다는 방침을 국제무대에 공식화했다. 이 대통령은 “엔드 이니셔티브를 중심으로 한 포괄적인 대화로 한반도에서의 적대와 대결의 시대를 종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자리에서 북한 체제를 존중하고, 적대 행위를 중단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이 대통령의 연설 직후 이 대통령을 만나 이러한 대북 구상에 공감을 표하고, 대북 정책을 적극 지원하고 지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한다.
이 대통령은 안보리 공개토의에선 ‘AI와 국제 평화·안보’를 주제로 회의를 주재해 한국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안보리 의사봉을 잡았다. AI에 대해 국제사회가 함께 ‘책임있는 이용’ 원칙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규연 홍보소통수석은 기자들과 만나 “유엔총회 연설과 안보리 회의 주재를 통해 한국의 민주주의가 복원됐고, 정상적인 국가로서 외교를 시작했다는 신호탄을 쏜 것”이라고 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뉴시스에 “글로벌 의제 설정 능력을 보여줬고, 양자외교와 경제외교를 통해 국익을 직접 챙겼다”고 했다.
美베센트 접견에 양자 정상외교·韓투자 설명회까지…숨가쁜 3박5일
이 대통령은 순방기간 양자 정상외교도 병행해 경제·산업 협력을 적극 모색했다. 이 대통령은 이탈리아·폴란드·체코·우즈베키스탄 정상과의 연쇄 회담을 통해 각 산업 분야별 맞춤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AI와 국방, 방위산업 등 첨단산업 분야에 관한 논의가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이탈리아와 AI와 방산 등 분야에서 호혜적 협력을 심화 발전시키기로 했고, 폴란드와 잠수함 등 국방·방위사업 협력을 강화하자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광물자원을 지닌 우즈베키스탄과 경제 협력을 확대하자는 데 뜻을 모았고, 체코와 원전을 넘어 반도체, 전기차 등으로 관계를 상호 호혜적으로 발전시키기로 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기자들과 만나 “다자외교 무대에서도 민생과 경제를 챙기는 행보를 이어갔다”고 했다. 이규연 홍보수석은 “네 번의 양자회담을 통해 양국 간 굉장히 큰 진전, 교역적인 측면이나 통상적 측면, 산업적 측면, 안보적 측면에서 진전이 계속됐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한미 관세협상과 통화스와프 문제 해결을 위해 순방 기간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을 접견했다. 이 대통령은 베센트 장관에게 한국 외환시장의 특수성 등을 설명하며 협상의 필요성을 직접 설득했다.
김용범 정책실장은 “통화스와프는 필요조건”이라며 “우리나라 외환시장에 미칠 충격이 크기 때문에 그게 해결이 안 되면 그 다음으로 나아갈 수가 없다”고 했다. 베센트 장관은 이 대통령의 설득을 경청하고, 미 내부 유관 부처와 상의하겠다고 답했다고 한다.
이 대통령은 또 미 의회와 조야 인사들을 만나 미국 비자 제도 개선과 관세 협상,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 등을 논의했다. 위 실장은 이를 두고 “한미 관계 발전에 대한 미국 의회와 조야의 폭넓은 지지를 확보하고 특히 비자 제도 개선과 관련한 초당적 지지를 이끌어내고자 했다”며 “국익 중심 실용 외교를 통한 한미 관계 강화의 계기가 됐다”고 했다.
순방 마지막날엔 월가 뉴욕증권거래소를 찾아 ‘대한민국 투자 서밋’을 열었다. 해외 금융인들에게 한국의 안정적인 투자 환경과 시장 신뢰를 직접 설득하는 투자 설명회다.
이 대통령은 주요 금융인들과 소통하고 네트워킹을 쌓는 한편, 세계적인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한국 투자를 당부하고 양국 경제·금융 협력을 위해 노력해달라고 요청했다. 한국 대통령이 뉴욕증권거래소를 방문한 것은 2017년 문재인 전 대통령 후 8년 만이며, 이곳에서 투자 설명회를 개최하는 것은 이 대통령이 처음이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이 한국을 ‘AI허브’로 구축한다는 업무협약(MOU)이 이번 순방 기간 공개되기도 했다. 이규연 수석은 “블랙록 회장을 만나 여러가지 실질적인 투자와 관련된 이야기가 오갔다는 것, 그것이 AI와 신재생에너지 부분에 관련된 것이고, 정부가 지금 가장 집중하는 분야”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bjko@newsis.com, photocdj@newsis.com, wander@newsis.com 급한 현장, 깔끔한 마감. 숙련 기술자가 바로 찾아가는 출장용접 서비스입니다. 재질·두께·환경을 먼저 진단하고 최적 공정으로 변형과 변색을 최소화합니다.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철 구조물까지 출장용접 범위를 넓혔고, 사진만 보내면 견적과 공정 계획을 신속히 안내합니다. 안전수칙과 품질검사 후 A/S까지 책임지며, 야간·주말도 예약 가능합니다. 믿을 수 있는 출장용접, 합리적인 비용의 출장용접, 결과로 증명하는 출장용접을 경험해 보세요. #출장용접 #알곤출장용접 #출장용접알곤 https://communicationphone.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