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장용접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2025 대한민국 해군 관함식’의 백미인 해상사열과 훈련 시범이 26일 부산 인근 해상에서 펼쳐졌다.이날 해상사열 및 훈련 시범에는 해군의 이지스구축함(DDG)과 3000t급 잠수함(SS-Ⅲ), 대형수송함(LPH), 상륙함(LST-Ⅱ) 등 함정 31척을 비롯해 해군·해병대, 육·공군, 해경 항공기 18대, 무인수상정과 무인항공기 등 수상과 공중에서 대규모 전력을 선보였다. 행사에는 안규백 국방부장관(임석상관)을 비롯한 군·정부 부처·국회·유관기관 관계자 300명이 좌승함인 상륙함 ‘일출봉함'(LST-Ⅱ·4900t급)에, 국민참여단 360명을 포함한 초청단체·인사 2100여 명이 시승함인 대형수송함 ‘마라도함'(LPH·1만4500t급)과 상륙함 ‘노적봉함'(LST-Ⅱ· 4900t급)에 승선했다. 또 해군의 최신예 이지스구축함이자 해양 기반 한국형 3축 체계의 핵심전력인 ‘정조대왕함'(DDG·8200t급)이 해상사열 지휘함 역할을 수행한다. 행사는 국민의례, 국방부장관 기념사, 해상사열 시작 보고, 관함식 주제영상 시청, 항공기 사열, 수상함 사열, 잠수함 사열, 대잠작전 훈련 시범, 해상화력 훈련 시범, 해상사열 종료 보고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항공기 사열은 총 8개 편대 비행으로 구성되며, 해군 해상초계기 P-8A 1대와 공군 전투기 F-15K 2대 진입으로 시작된다. P-8A는 해군창설 80주년을 기념하며 플레어(섬광탄) 80발을 발사한다. 이어 해상작전헬기 Lynx 2대, 올해 도입된 해군 최신형 해상작전헬기 MH-60R 2대, 해상기동헬기 UH-60 2대,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MUH-1 2대, 육군 공격헬기 AH-64 2대, 해경 헬기 2대, 공군 경공격기 FA-50 3대가 차례대로 비행했다.수상함 사열은 해양 3축체계의 핵심인 기동함대 전력을 시작으로 해군 발전기, 해역함대, 기뢰전, 구조전, 유관기관 전력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올해 2월 창설된 기동함대 전력을 대표해 이지스구축함 세종대왕함(DDG·7600t급)과 구축함 왕건함(DDH-Ⅱ·4400t급)이 차례로 기동하며 위용을 뽐내며, 최신예 호위함 충남함(FFG·3200t급)이 뒤를 이으며 대한민국의 우수한 조선기술과 국방과학기술이 집약된 모습을 선보였다.이어 해군 발전기 전력을 대표해 최초의 국산 호위함인 울산급 호위함 부산함(FF·1500t급)과 초계함 광명함(PCC·1000t급), 고속정(PKM·130t급) 편대가 뒤를 따랐다.또 해역함대 전력을 대표해 구축함 양만춘함(DDH-Ⅰ·3200t급), 호위함 인천함(FFG·2500t급), 유도탄고속함 조천형함(PKG·450t급), 신형 고속정(PKMR·230t급), 기뢰전 전력으로 기뢰부설함 남포함(MLS-Ⅱ·3000t급), 소해함 고성함(MSH·730t급), 구조전 전력으로 수상함구조함 통영함(ATS-Ⅱ·3500t급), 잠수함구조함 강화도함(ASR-Ⅱ·5600t급)이 차례로 기동하며 해상에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해군의 주요 전력을 선보인다.아울러 2025 대한민국 해군 관함식을 축하해주기 위해 해양경찰 3000t급 경비함 3001함, 지질자원연구원의 최첨단 물리탐사연구선 탐해3호, 한국해양대학교 실습선 한바다호가 해상사열에 동참했다. 잠수함 사열에는 박위함(SS-Ⅰ·1200t급), 이범석함(SS-Ⅱ·1800t급), 대한민국 독자기술로 건조된 3000t급 잠수함(SS-Ⅲ) 3번함인 신채호함 순으로 항해를 하며 수중에서 은밀하게 임무를 수행하는 국가 전략자산의 위용을 드러냈다. 해상사열에 참가한 함정들은 좌승함과 시승함을 마주 보고 지나갈 때마다 대함경례를 하며 ‘국민과 함께 강한해군 해양강국’을 이끄는 해군 장병들의 늠름한 모습을 보였다. 해상사열 종료 후에는 대잠작전 훈련 시범이 펼쳐졌다. 해상초계기 P-8A가 음파탐지 소노부이를 투하하고, 해상작전헬기 MH-60R이 디핑소나를 강하해 수중 잠수함을 탐지·추적했다. P-8A와 MH-60R이 탐지한 적 잠수함을 격침하기 위해 해상작전헬기 Lynx가 청상어(경어뢰) 훈련어뢰를 투하하며 대잠작전 절차를 선보였다.이어 해상 화력훈련 시범에서는 유·무인 전력을 활용한 적 선박 대응상황이 연출됐다. 먼저 무인항공기(UAV)가 시승함 노적봉함 비행갑판에서 해상정찰 임무차 이륙하고, 해상정찰 중이던 무인수상정(USV)이 고속 기동하며 가상의 적 선박에 접근해 경고사격을 실시했다. 이어 구축함 강감찬함(DDH-Ⅱ·4400t급), 호위함 경남함(FFG·3100t급), 유도탄고속함 한상국함(PKG·450t급), 신형 고속정(PKMR·230t급)으로 구성된 전투전대 함정 4척은 막강한 화력의 함포 일제사격을 통해 적 선박을 명중시켰다.해상사열 지휘함인 정조대왕함은 국방부 장관을 비롯한 국민 2400여 명이 타고 있는 좌승함과 시승함을 향해 대함경례를 하고 해상사열 종료 보고를 한 뒤 이번 관함식에서 준비한 모든 해상사열과 훈련 시범을 마친다.해군은 이번 관함식 기간인 25~27일 함정공개행사를 비롯한 부산작전기지 부대 개방행사를 열고 있다. 마지막 날인 27일 저녁에는 관함식 참가 장병 및 일반국민 3000명이 참석하는 국방홍보원 KFN ‘위문열차’ 기념음악회를 개최하며, 공연 말미에는 해군창설 80주년 축하 ’80년의 항해, 국민과 함께 빛나는 바다’라는 주제로 불꽃 축제를 펼치며 관함식의 대미를 장식한다.한편 해군은 국민과 함께 해군창설 80주년을 기념하고, 해양안보의 중요성과 해양강국 비전에 대한 공감대 확산을 위해 이번 관함식을 기획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ulnetphoto@newsis.com 출장용접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2025 대한민국 해군 관함식’의 백미인 해상사열과 훈련 시범이 26일 부산 인근 해상에서 펼쳐졌다.
이날 해상사열 및 훈련 시범에는 해군의 이지스구축함(DDG)과 3000t급 잠수함(SS-Ⅲ), 대형수송함(LPH), 상륙함(LST-Ⅱ) 등 함정 31척을 비롯해 해군·해병대, 육·공군, 해경 항공기 18대, 무인수상정과 무인항공기 등 수상과 공중에서 대규모 전력을 선보였다.
행사에는 안규백 국방부장관(임석상관)을 비롯한 군·정부 부처·국회·유관기관 관계자 300명이 좌승함인 상륙함 ‘일출봉함'(LST-Ⅱ·4900t급)에, 국민참여단 360명을 포함한 초청단체·인사 2100여 명이 시승함인 대형수송함 ‘마라도함'(LPH·1만4500t급)과 상륙함 ‘노적봉함'(LST-Ⅱ· 4900t급)에 승선했다.
또 해군의 최신예 이지스구축함이자 해양 기반 한국형 3축 체계의 핵심전력인 ‘정조대왕함'(DDG·8200t급)이 해상사열 지휘함 역할을 수행한다.
행사는 국민의례, 국방부장관 기념사, 해상사열 시작 보고, 관함식 주제영상 시청, 항공기 사열, 수상함 사열, 잠수함 사열, 대잠작전 훈련 시범, 해상화력 훈련 시범, 해상사열 종료 보고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항공기 사열은 총 8개 편대 비행으로 구성되며, 해군 해상초계기 P-8A 1대와 공군 전투기 F-15K 2대 진입으로 시작된다. P-8A는 해군창설 80주년을 기념하며 플레어(섬광탄) 80발을 발사한다. 이어 해상작전헬기 Lynx 2대, 올해 도입된 해군 최신형 해상작전헬기 MH-60R 2대, 해상기동헬기 UH-60 2대,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MUH-1 2대, 육군 공격헬기 AH-64 2대, 해경 헬기 2대, 공군 경공격기 FA-50 3대가 차례대로 비행했다.
수상함 사열은 해양 3축체계의 핵심인 기동함대 전력을 시작으로 해군 발전기, 해역함대, 기뢰전, 구조전, 유관기관 전력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올해 2월 창설된 기동함대 전력을 대표해 이지스구축함 세종대왕함(DDG·7600t급)과 구축함 왕건함(DDH-Ⅱ·4400t급)이 차례로 기동하며 위용을 뽐내며, 최신예 호위함 충남함(FFG·3200t급)이 뒤를 이으며 대한민국의 우수한 조선기술과 국방과학기술이 집약된 모습을 선보였다.
이어 해군 발전기 전력을 대표해 최초의 국산 호위함인 울산급 호위함 부산함(FF·1500t급)과 초계함 광명함(PCC·1000t급), 고속정(PKM·130t급) 편대가 뒤를 따랐다.
또 해역함대 전력을 대표해 구축함 양만춘함(DDH-Ⅰ·3200t급), 호위함 인천함(FFG·2500t급), 유도탄고속함 조천형함(PKG·450t급), 신형 고속정(PKMR·230t급), 기뢰전 전력으로 기뢰부설함 남포함(MLS-Ⅱ·3000t급), 소해함 고성함(MSH·730t급), 구조전 전력으로 수상함구조함 통영함(ATS-Ⅱ·3500t급), 잠수함구조함 강화도함(ASR-Ⅱ·5600t급)이 차례로 기동하며 해상에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해군의 주요 전력을 선보인다.
아울러 2025 대한민국 해군 관함식을 축하해주기 위해 해양경찰 3000t급 경비함 3001함, 지질자원연구원의 최첨단 물리탐사연구선 탐해3호, 한국해양대학교 실습선 한바다호가 해상사열에 동참했다.
잠수함 사열에는 박위함(SS-Ⅰ·1200t급), 이범석함(SS-Ⅱ·1800t급), 대한민국 독자기술로 건조된 3000t급 잠수함(SS-Ⅲ) 3번함인 신채호함 순으로 항해를 하며 수중에서 은밀하게 임무를 수행하는 국가 전략자산의 위용을 드러냈다.
해상사열에 참가한 함정들은 좌승함과 시승함을 마주 보고 지나갈 때마다 대함경례를 하며 ‘국민과 함께 강한해군 해양강국’을 이끄는 해군 장병들의 늠름한 모습을 보였다.
해상사열 종료 후에는 대잠작전 훈련 시범이 펼쳐졌다. 해상초계기 P-8A가 음파탐지 소노부이를 투하하고, 해상작전헬기 MH-60R이 디핑소나를 강하해 수중 잠수함을 탐지·추적했다. P-8A와 MH-60R이 탐지한 적 잠수함을 격침하기 위해 해상작전헬기 Lynx가 청상어(경어뢰) 훈련어뢰를 투하하며 대잠작전 절차를 선보였다.
이어 해상 화력훈련 시범에서는 유·무인 전력을 활용한 적 선박 대응상황이 연출됐다. 먼저 무인항공기(UAV)가 시승함 노적봉함 비행갑판에서 해상정찰 임무차 이륙하고, 해상정찰 중이던 무인수상정(USV)이 고속 기동하며 가상의 적 선박에 접근해 경고사격을 실시했다. 이어 구축함 강감찬함(DDH-Ⅱ·4400t급), 호위함 경남함(FFG·3100t급), 유도탄고속함 한상국함(PKG·450t급), 신형 고속정(PKMR·230t급)으로 구성된 전투전대 함정 4척은 막강한 화력의 함포 일제사격을 통해 적 선박을 명중시켰다.
해상사열 지휘함인 정조대왕함은 국방부 장관을 비롯한 국민 2400여 명이 타고 있는 좌승함과 시승함을 향해 대함경례를 하고 해상사열 종료 보고를 한 뒤 이번 관함식에서 준비한 모든 해상사열과 훈련 시범을 마친다.
해군은 이번 관함식 기간인 25~27일 함정공개행사를 비롯한 부산작전기지 부대 개방행사를 열고 있다. 마지막 날인 27일 저녁에는 관함식 참가 장병 및 일반국민 3000명이 참석하는 국방홍보원 KFN ‘위문열차’ 기념음악회를 개최하며, 공연 말미에는 해군창설 80주년 축하 ’80년의 항해, 국민과 함께 빛나는 바다’라는 주제로 불꽃 축제를 펼치며 관함식의 대미를 장식한다.
한편 해군은 국민과 함께 해군창설 80주년을 기념하고, 해양안보의 중요성과 해양강국 비전에 대한 공감대 확산을 위해 이번 관함식을 기획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ulnetphoto@newsis.com 급한 현장, 깔끔한 마감. 숙련 기술자가 바로 찾아가는 출장용접 서비스입니다. 재질·두께·환경을 먼저 진단하고 최적 공정으로 변형과 변색을 최소화합니다.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철 구조물까지 출장용접 범위를 넓혔고, 사진만 보내면 견적과 공정 계획을 신속히 안내합니다. 안전수칙과 품질검사 후 A/S까지 책임지며, 야간·주말도 예약 가능합니다. 믿을 수 있는 출장용접, 합리적인 비용의 출장용접, 결과로 증명하는 출장용접을 경험해 보세요. #출장용접 #알곤출장용접 #출장용접알곤 https://communicationphone.store/